어제 세미나 강연자는 삼성전자 반도체총괄 System LSI 사업부장을 맡고 계신 우남성 부사장님.
강연 정말 재미있게 들었다.
http://cctlab01.snu.ac.kr/bbs/view.php?id=2008_2_usemi&no=16
삼성전자에 4개 총괄 부문이 있는 것은 익히 알았지만, 반도체총괄 사업부의 구조에 대해서는 잘 몰랐었다.
알고 보니 반도체총괄에
- Memory 사업부
- System LSI 사업부
- Storage 사업부
가 있고, 흔히 비메모리라고 일컫어지는 부문이 시스템 LSI이다. (비메모리는 별로 적합한 용어는 아니다).
그리고 시스템 LSI 부문이 내가 관심 있어 하는 computer architecture, compilers, operating systems 등의 기술들의 집합체이기도 하다.
기억 나는 몇 가지 사항들:
- Memory 세계 시장 점유율은 삼성이 29%, 하이닉스가 21%로 한국이 절반을 차지하고 있다.
- 반면 System LSI 시장 점유율은 1%도 안 된다.
- System LSI 중 CPU 부문은 (당연히; ) Intel이 70%, AMD가 20%이다.
- System LSI 중 Mobile 부문은 Qualcomm이 30%, 그 외 여러 회사들이 분할하고 있다.
- 전체 반도체 시장 중 System LSI 매출이 Memory 매출의 약 2배이다. (아마 DRAM보다 CPU가 단가가 비싸기 때문에…)
- 반도체 공장 하나 건설 비용은 3조원 정도이다. (인천 공항 건설 비용은 10조이다).
- 작년 삼성전자 System LSI 매출은 4조원이다.
- 4조원 매출을 내는 삼성전자 System LSI 사업부 직원은 3000여명, 박사급은 330명으로 10% 정도이다. (10%면 상당히 적은 편?)
- System LSI 사업부는 일본, 중국, 인도, 이스라엘에 R&D 센터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마지막은 퀄컴과 삼성의 대결에 대한 한 마디.
퀄컴은 최근 Baseband(통신 칩)과 CPU가 하나의 칩에 구현된 솔루션을 내놓고 있다.
반면 삼성의 position은, Baseband의 발전보다 CPU의 발전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2개를 구분하는 것이 더 좋다는 것. 이런 것도 NAND형 flash, NOR형 flash 선택의 기로와 같이, industry에 살아남기 위한 치열한 전쟁.ㅎㅎ
그런데 모든 삼성 폰에 퀄컴 칩이 들어갈텐데, 이를 삼성 자체 칩으로 대체하는 것은 한국 CDMA 시스템과 퀄컴의 강력한 특허 때문에 어려운 것인가?… ‘나쁜 사마리아인들’에서 특허의 횡포에 대해 생각나는 것은.ㅋ
인상 깊은 세미나. 세미나 수업에서 종종 뜻깊은 얘기를 많이 얻는다.
그리고 우리 나라가 삼성 같은 기업을 가지고 있는 것도 자랑스러워 할 대목이다. 하이닉스도
'IT market' 카테고리의 다른 글
Semiconductor Industry Rank(2011) (0) | 2011.04.22 |
---|---|
Sharp Wireless LCD TV Release(June) (0) | 2011.04.22 |
[머니투데이]'심상찮은' LCD 가격하락…국내 업계도 '적신호' (0) | 2010.09.18 |
[한국일보]잘 나가던 LCD 패널 가격 급락… 하반기 '빨간불' (0) | 2010.09.18 |
[Weekly IT]숫자로 본 시스템반도체 (0) | 2010.09.18 |